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뉴스

살 빼려고 '이것' 먹었다가 "기억 잃었다"…온몸에 퍼진 끔찍한 정체

by 아기 자동차 2024. 10. 20.
반응형

 

데일리메일 홈페이지 캡처
[서울경제]

체중 감량을 위해 ‘기생충 다이어트’를 시도한 미국의 20대 여성이 기억을 잃는 등 끔찍한 부작용을 겪은 사연이 전해졌다. 의료계에서는 자칫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는 경고까지 나왔다.

최근 뉴욕포스트,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의 종양학자이자 의학 관련 유튜브 채널 '처비에무'(Chubbyemu) 진행자인 버나드 쉬 박사는 A(21)씨의 사연을 소개하며 인터넷에서 암암리에 퍼지고 있는 '기생충 알약' 다이어트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이 여성은 여성은 식이조절과 운동으로 살을 빼기 위해 애쓰던 중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촌충' 다이어트에 관한 글을 발견했다.

‘논란이 있는’, ‘금지된’이라는 경고 문구는 오히려 A씨의 호기심을 자극했고, 성공 사례와 전후 비교 사진을 접한 뒤 다크웹에서 가상 화폐를 이용해 촌충이 들어있는 캡슐을 구매했다.

처음 캡슐을 먹었을 당시에는 기대했던 것처럼 체중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하지만 며칠이 지난 뒤 여성의 눈에는 이상한 광경이 들어왔다.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고 나서 물을 내리려고 보니 황갈색의 사각형 조각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 우려되긴 했지만 여성은 지방이 빠져나가고 있는 증거라고 생각했다.

부작용으로 의심되는 증상은 점점 심각해졌다. 몇 주 후에는 턱 아래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커다란 혹이 생겼다. 혹을 눌러보다가 기절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몇 시간이 지나 깨어난 후에는 무언가가 눈을 두개골 밖으로 밀어내는 것 같은 심각한 두통을 느끼기까지 했다.

 


이에 A씨는 결국 병원을 찾았고 검사 결과 뇌척수액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의료진은 그 원인이 무엇인지 찾기 위해 여러 검사를 했지만 눈에 띄는 점은 없었다. 의료진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약을 처방했다.

하지만 증상은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 쉬 박사는 “낮 중에 갑자기 깨어나서 지난 몇 시간 동안의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상황을 전했다.

여성의 상태가 갈수록 악화되자 의료진은 뇌 상태를 관찰해 보기로 했다. MRI 검사 결과 목과 얼굴, 혀에서 이상한 반점이 발견됐다. 간과 척추 등 온몸 곳곳에서도 비슷한 병변이 관찰됐다.

의료진은 식단과 생활습관의 문제를 의심하며 여성에게 무엇을 먹었는지 물었다. 여성은 처음에는 ‘감자칩’을 먹었다고 얼버무렸지만 결국 촌충을 먹었다고 실토했다.

A씨가 먹은 알은 무구조충(Taenia saginata)과 유구조충(Taenia solium)인 것으로 밝혀졌다. 무구조충은 주로 소고기에서 발견되며, 앞서 A씨가 화장실에서 발견한 직사각형 모양의 갈색 알과 일치했다.

여성이 변기에서 본 황갈색 물체는 사실 임신한 편절이었다고 쉬 박사는 설명했다. 성체 촌충의 일부인 편절에는 수만 개의 알이 들어있는데, 배변 때 몸 밖으로 배출된다.

더 심각한 문제는 돼지고기를 숙주로 하는 유구조충이었다. 이 기생충은 알을 몸속으로 방출해 혈류를 통해 근육과 뇌에 퍼져 낭포충증을 일으킨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해롭지 않지만 뇌로 침투하면 두통과 발작 등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쉬 박사는 "낭포충증을 앓은 사람들은 문제를 발견하기 전까지 수년간 성격 변화와 인지 기능 장애를 겪어왔다"고 설명했다.

A씨는 기생충을 마비시키고 제거하는 약을 복용했으며, 뇌의 염증을 줄이기 위한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았고 3주간 입원 후 뇌에서 알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퇴원할 수 있었다. 6개월 후 A씨는 추가 증상 없이 건강한 방법으로 체중을 감량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쉬 박사는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이조절과 운동을 통해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이는 일부러 체내에 미생물을 키우는 것보다 훨씬 위험성이 적다"고 지적했다.

기생충은 숙주가 먹는 음식의 일부를 흡수해 체중 감소를 일으키고,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생충 알약을 고의로 섭취하는 여성들의 사례는 이전에도 미국과 중국에서 보고된 바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