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야구

송원대학교 야구부

by 아기 자동차 2024. 9. 22.
반응형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송원대학교 야구부
(Songwon University)
창단
2004
지역
광주권
감독
고천주
코치
강장산 · 손명기[1] · 신동주
우승 기록[2]
-회
홈페이지
-
역대 전적
대회
우승
준우승
4강[3]
-
-
-
-
1회(2022)
-
-
-
-
대학야구 춘계/하계/추계리그
-
-
-
-
-
-
 

 

1. 개요

2. 야구부 출신 선수

1. 개요[편집]

광주광역시 소재의 한국대학야구 팀이다. 2004년 창단하였다. 같은 년도 9월 1일 회장기 전국대학야구 추계리그 B조 예선리그 서울대와의 경기에서 0-2으로 패배하며 서울대 야구부의 공식 첫 승이란 대기록의 희생양이 되었다.[4]

고천주 감독에 관한 기사는 이 곳을 참조하자.

2021년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4강에 올랐다. 준결승에서 동향 라이벌 동강대에 패하면서 우승 도전에 실패했다.

 

2022년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4강에 올랐다. 성균관대, 경희대, 송원대는 2년 연속 같은 대회 4강 진출에 성공했다.[5] 이후 결승 대진으로 '송원대 - 경희대'가 확정되면서 대학야구선수권 첫 결승 진출기록이 되었다. 결승전에서 경희대에게 1-10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KUSF 대학야구 U리그 왕중왕전에서는 20강에서 부산과기대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2022년 투수 혹사논란이 있었다.관련기사

2. 야구부 출신 선수[편집]

  • 04학번부터 11학번까지는 2년제, 12학번부터는 4년제이다.
 
출신 선수
학번
성명
04
구광우, 김기환, 김대식[A], 김정혁, 김태진, 김현덕, 나한욱, 방기현, 신승도, 이정현, 임도현[A], 정희준, 조성주, 조영만[8], 채영철, 최수석, 최평근, 홍병오, 홍철의
05
김상민, 남효남, 이재성, 이훈호, 허근[A]
06
김형준, 유동근[A], 이정구[11], 이창동, 이현우, 임경남, 장윤석, 최초록빛, 한덕재
07
박경호, 박종호, 오규호, 임창윤, 한강현
08
김웅비, 김준형, 박중엽, 신광민, 이광민, 이성옥, 이용선, 이유승, 최경환, 하지항
09
강호영, 김기한, 김찬양, 문병승[12], 신희섭, 이희재, 정진형
10
김동영, 김태호, 남택현, 유진범, 윤종원, 은승진[13], 이승환, 임재광, 전수환, 최윤철, 최인호, 홍승표
11
김광연, 김영재, 모상영, 박성범, 서준호, 유원범, 이태초, 최성현
12
강명석, 고현옥, 김찬송[14], 안준영, 유영혁, 이종우, 이종현, 이주호, 이진영, 임대한
13
김기준, 김진욱, 류철호, 선진원, 양륜석, 이병규, 이원재, 임창후
14
김명진, 배창민, 백종오
15
김형선, 신윤수, 안광현, 이양우, 이용, 전양일[B], 조대현, 채현우
16
김한주, 나명선, 나승효, 남창모, 양선준, 전기성
17
김민혁, 나승원[16], 박성언, 박제헌, 심세훈, 이세진, 이한주, 장재훈
18
곽동현, 설재성, 손진규, 전승우, 정현준, 차희준, 최기정, 최영기[B]
19
김도형, 김동휘, 김민수, 김재현, 김준겸, 김현우, 송진익, 심도원, 위성호, 이준
20
안환수, 정현수
21
강승보, 김상범[C], 김현도[C], 박민서[D], 박준서, 박지훈[D], 이창식, 조건희[22]
22

[1] 광주일고 포수 출신으로 경기 수원북중, 안산공고 코치를 거쳐 2023년부터 송원대 코치를 맡고 있다. 2019년 EBS에서 2007년 대통령배 우승팀 광주일고 선수 3명의 후일담을 다룬 다큐 <그 많던 야구선수는 어디로 갔을까?>에 출연하기도 했다.

[2] 대통령배+전국대학야구선수권+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춘계리그+추계/하계리그+전국종합야구선수권

[3] 4강 진출의 경우는 최근의 기록만 남아 있다.

[4] 이후 2024년 4월 19일 경민대학교 야구부가 2-9로 패배하면서 서울대를 상대로 유일하게 패한 팀이라는 타이틀에서는 벗어났다.

[5] 나머지 한 팀은 '21년 동강대, '22년 한일장신대다.

[A] 6.1 6.2 6.3 6.4 원광대로 편입.

[8] 한성디지털대(현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로 편입.

[11] 한일장신대로 편입.

[12] 탐라대(현 제주국제대)로 편입.

[13] 경성대로 편입.

[14] 동강대에서 편입

[B] 15.1 15.2 강릉영동대에서 편입

[16] 재능대에서 편입

[C] 18.1 18.2 조선이공대에서 편입

[D] 20.1 20.2 부산과학기술대에서 편입

[22] 여주대에서 편입

[E] 23.1 23.2 2024년 얼리 드래프트.

반응형